분류 전체보기 (54)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러 상호문화교류 ‘온라인 공연주간’ 2일차, 가스카로프 민속무용단 레퍼토리 공연 가스카로프 민속무용단 © 문화체육관광부 가스카로프 민속무용단 레퍼토리 공연 라이브 © 문화체육관광부 네이버tv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김용락, 이하 진흥원)과 함께 한국과 러시아 수교 30주년 기념 ‘2020-2021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맞이해 8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한-러 온라인 공연주간’을 운영한다. 러시아에서는 연방 음악·축제 공공기관인 로스콘서트(Rosconcert)가 이번 행사를 진행한다. ‘온라인 공연주간’ 동안 한국은 국립발레단의 ‘허난설헌-수월경화’, 국립현대무용단의 ‘비욘드 블랙’,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아리랑로드-디아스포라’,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러시안나잇-프로코피예프&라흐마니노프’ 등 한국을 대표하는 국공립 예..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 양국 예술 공연 소개하는 ‘온라인 공연주간’ 운영 비올리스트 Yuri Bashmet © 문화체육관광부 비올리스트 ‘유리 바슈메트와 모스크바 솔로이스츠’의 함부르크 공연 실황 © 문화체육관광부 네이버tv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김용락, 이하 진흥원)과 함께 한국과 러시아 수교 30주년 기념 ‘2020-2021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맞이해 8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한-러 온라인 공연주간’을 운영한다. 러시아에서는 연방 음악·축제 공공기관인 로스콘서트(Rosconcert)가 이번 행사를 진행한다. ‘온라인 공연주간’ 동안 한국은 국립발레단의 ‘허난설헌-수월경화’, 국립현대무용단의 ‘비욘드 블랙’,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아리랑로드-디아스포라’,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러시안나잇-프로코피예프&라.. 통일신라의 궁원지, 동궁과 월지의 조사와 연구-회고와 전망 학술대회 통일신라의 궁원지, 동궁과 월지의 조사와 연구 - 회고와 전망 학술대회 © 문화재청 통일신라의 궁원지, 동궁과 월지의 조사와 연구 - 회고와 전망 학술대회 실시간 스트리밍 © 문화재청 YOUTUBE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한국고대사학회(회장 이수훈)와 함께 7월 16일과 17일 이틀간, 경주 드림센터에서「통일신라의 궁원지, 동궁과 월지의 조사와 연구 -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경주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는 신라 왕경이나 월성, 혹은 유적의 정비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다루었던 적은 많았지만 문헌과 고고학의 시각에서 그 실체를 살펴본 적은 없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문헌과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동궁과 월지를 종합적으로 짚어보는 최초의 자리로서 197.. 문화재청․한국미술사학회 공동 온라인 학술심포지엄 '한국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공동학술심포지엄, '디지털 시대 문화재 관리와 활용' 강희정(서강대학교) © 문화재청 YOUTUBE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한국미술사학회(회장 방병선)는 한국미술사학회 창립 60주년을 기념해 지난 7월 4일 공동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심포지엄 내용을 11일 온라인으로 공개했다. * 온라인 공개: 문화재청 유튜브(www.youtube.com/chluvu), 한국미술사학회 누리집(http://korea-art.or.kr) 및 유튜브(https://www.youtube.com/channel/UCPHwC6Xb_WA9r45LrCTXXGw)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한 적극행정 차원에서 지난 7월 4일에 비대면 사전녹화로 진행하였으며, 국민..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 © 국립해양박물관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 © 국립해양박물관 시대 : 조선재질 : 나무, 나전크기 : 39.1 x 24.7 x 10.6(cm)소장 : 국립해양박물관제작시기 : 18세기 추정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는 소나무와 황동을 재료로 하여 나전과 옻칠 기법 및 맞짜임으로 제작한 직사각형 상자이다.특히 상자 밑면을 제외한 전체 면에 넝쿨로 연결된 국화모란문을 끊음질과 줄음질로 시문한 뛰어난 나전기법을 지닌 작품이기도 하다.윗면에는 모란과 국화를 당초문으로 아름답게 포치하였는데 이 문양은 앞면까지 연속되어 있으며, 측면과 뒷면의 경우에는 국화당초문만 시문되어 있다.(출처 : 국립해양박물관 https://www.knmm.or.kr) 일본에서 돌아온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 나전국화넝쿨무늬합 © 문화재청 나전국화넝쿨무늬합 © 문화재청 YOUTUBE 고려시대 예술을 대표하는 나전칠기 유물인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이하 ’나전합‘)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이번에 들어온 ‘나전합’은 모자합(母子盒, 하나의 큰 합 속에 여러 개 작은 합이 들어간 형태)의 자합(子盒) 중 하나로, 전 세계에 단 3점만이 온전한 형태로 전해지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매입 가능했던 개인 소장품이었다. 이번 환수는 문화재청의 위임을 받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최응천)이 그동안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소장자와의 협상에 임하여 이뤄낸 값진 성과다. 또한, 고려 나전칠기 생산국인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자합 형태의 ‘나전합’을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환수는 더욱 .. '아세안을 엮다, 아세안을 잇다’ 온라인 전시로 개막 아세안을 엮다, 아세안을 잇다 온라인 전시 © 아세안문화원 KF(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이근)가 운영하는 아세안문화원은 6월 19일(금)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상설전 ‘아세안을 엮다, 아세안을 잇다’를 온라인으로 선보인다. 아세안문화원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외출을 꺼리는 관람객들이 집에서도 아세안 10개국 고유의 독창적인 문화를 공예품을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첫 온라인 전시를 마련했다. PC 또는 모바일로 아세안문화원 홈페이지(www.ach.or.kr)에 접속하여 관람 가능한 이번 전시는 360도 VR 촬영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관람객들은 고화질로 실제 전시장의 모습 및 전시품, 영상 등을 자동 재생되는 감상 동선을 따라 생생하게 볼 수 있으며, 섹션별 파노라마 사진 등 온라인 특화 콘텐츠도 함께.. 2022년 제7차 국제 해양폐기물 콘퍼런스, 부산에서 열린다 제6차 국제 해양폐기물 콘퍼런스 © https://internationalmarinedebrisconference.org 갈무리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2년에 열릴 ‘제7차 국제 해양폐기물 콘퍼런스(International Marine Debris Conference)’ 개최지로 부산광역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개최지 선정을 위해 지난 2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였으며, 부산광역시, 강원 강릉시, 충남 보령시, 경북 경주시 등 4개 지자체에서 유치를 신청하였다. 해양수산부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선정을 위해 해양 분야 외부 전문가 10명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지자체의 제안서 발표와 평가위원의 제안서 평가를 거쳤다. 개최지로 선정된 부산광역시는 예상 참석인원.. 이전 1 2 3 4 5 ··· 7 다음